김해시장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시장 선거는 김해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다. 역대 김해시장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홍태용 후보가 당선되었다.
1995년 제1회 지방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송은복 후보가 41.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1998년 제2회 지방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송은복 후보가 60.70%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2002년 제3회 지방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송은복 후보가 57.71%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했다.
2. 역대 민선 김해시장
선거 정당 시장 1995년 민주자유당 송은복 1998년 한나라당 2002년 한나라당 2006년 한나라당 김종간 2010년 민주당 김맹곤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2016년 더불어민주당 허성곤 2018년 더불어민주당 2022년 국민의힘 홍태용
3. 역대 선거 결과
2006년 제4회 지방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종간 후보가 54.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지방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맹곤 후보가 34.1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김해시 최초의 민주당계 시장이 되었다. 2014년 제6회 지방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김맹곤 후보가 48.52%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201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허성곤 후보가 50.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지방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허성곤 후보가 62.65%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며 김해시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굳건함을 보여주었다. 2022년 제8회 지방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홍태용 후보가 57.29%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정권 교체와 맞물려 김해시의 정치 지형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한다.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송은복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송은복 민주자유당 47,191 41.16 채창길 무소속 19,496 17.00 이병조 무소속 18,920 16.50 홍의표 민주당 18,275 15.94 김승도 무소속 10,751 9.37 합계 114,633 100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송은복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송은복 | 한나라당 | 62,542 | 60.70% |
정도영 | 새정치국민회의 | 17,990 | 17.46% |
홍의표 | 자유민주연합 | 11,501 | 11.16% |
김종간 | 무소속 | 10,988 | 10.66% |
합계 | 103,021 | 100.00% |
3.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송은복 후보가 57.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최철국 후보는 42.28%를 득표하였다.
3.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간 | 한나라당 | 81,005 | 54.47% |
이봉수 | 열린우리당 | 40,526 | 27.25% |
유효이 | 무소속 | 19,725 | 13.26% |
유신현 | 무소속 | 4,715 | 3.17% |
주정화 | 무소속 | 2,736 | 1.83% |
합계 | 148,707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김종간 후보가 당선되었다.
3. 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김맹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해시 최초의 민주당계 시장 당선이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맹곤 | 민주당 | 65,853 | 34.13% |
박정수 | 한나라당 | 57,017 | 29.55% |
김종간 | 무소속 | 56,684 | 29.38% |
신용옥 | 무소속 | 7,764 | 4.02% |
송윤한 | 무소속 | 5,613 | 2.90% |
합계 | 192,931 | 100% |
3. 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맹곤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3. 7. 201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성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3. 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제7회 지방 선거에서 허성곤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허 후보는 62.6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김해시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굳건함을 보여주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허성곤 | 더불어민주당 | 155,361 | 62.65 |
정장수 | 자유한국당 | 70,239 | 28.32 |
허점도 | 바른미래당 | 9,171 | 3.69 |
최성근 | 무소속 | 4,701 | 1.89 |
송재욱 | 무소속 | 4,361 | 1.75 |
김동순 | 무소속 | 4,140 | 1.66 |
합계 | 247,973 | 100 |
3. 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해시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홍태용 후보가 114,735표(57.29%)를 얻어, 85,534표(42.70%)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허성곤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는 정권 교체와 맞물려 보수 정당 후보가 당선된 것으로, 김해시의 정치 지형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